지식의 대중화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 전문가 24인이 자기 분야의 지식을 최대한 쉽게 풀어낸 책. 각 학문 분야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쉽고 짧 게 설명하여 주고, 이를 적용하는 예를 들어 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, 이 한 권을 통해, 여러 사회 및 자연 현상을 혼자 힘으로 해석하고 이해 하고 대처할 수 있는 “생각하는 틀과 안목”을 길러 준다.
주경철(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)
정호근(서울대 철학과 교수)
김민수(서울대 디자인학부 교수)
장경렬(서울대 영문과 교수)
이 근(서울대 경제학부 교수)
장경섭(서울대 사회학과 교수)
장동진(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)
이 근(서울대 국제대학원
교수)
임경순(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교수)
1장 역사를 보는 눈 - 주경철
1. 기억
2. 역사에 대한 감시 : 객관성의 문제
3. 역사 인식의 형성을 돕는 매체들 : 사회 속
의 역사
4. 역사학의 발전
5. 결론과 요약
2장 이성을 보는 철학의 눈 - 정호근
1. 이성, 왜 중요한가
2. 이
성은 더 이상‘이성적’이지 않다
3. 이성은 지배와 얽혀 있다
4. 또 다른 이성을 찾아서
5. 맺으면서 : 그렇다면 철학은?
3장 시각예술과 문화를 보는 눈 - 김민수
1. 예술에 대한 사회적 편견
2‘. 예술=아름다움’의 신화
3‘. 삶과 같
은 예술’을 향하여
4. 디지털 용광로 속의 문화예술
5. 요약과 마지막 하고픈 말
4장 문학, 언어, 비평을 보는 눈 -
장경렬
1. 눈길을 어디에 줄 것인가
2. 문학 작품을 보는 눈
3. 문학의 언어를 보는 눈
4. 문학 비평을 보는 눈
5. 눈길을 거두면서
5장 경제를 보는 눈 - 이 근
1. ‘경제학’뭐하러 배우나?
2. 경제문제는 왜 발생하나?
3. 경제를 쉽게 보는데 필요한 것들 몇 가지
4. 한국경제 이렇게 보면 된다
5. 요약
6장 사회를 보는 눈 - 장경
섭
1. 들어가며
2. 현대사회와 사회학
3. 관계, 구조, 변화과정으로서의 사회
4. 현대 한국사회의 성격
5. 21세기
와 사회학적 상상력
7장 정치를 보는 눈 - 장동진
1. 서론
2. 현대 한국정치의 복합적 성격과 갈등
3. 현대 정치철
학과 한국정치
4. 결론
8장 국제정치를 보는 눈 - 이 근
1. 정치란 무엇인가
2. 정치를 왜 국제적으로 할까
3. 국가 간에 전쟁은 왜 자꾸 일어날까
4. 전쟁이 없을 때 국제정치의 모습은
5. 국제정치를 보는 이론
6. 우리는 무엇
을 보아야 하는가
9장 과학을 보는 눈 - 임경순
1. 근대과학과 전통적 과학관의 위기
2. 현대과학의 사회·문화적 성격
과 집단연구
3. 과학기술의 융합과 통합
4. 환경문제와 위험사회론
5. 과학기술윤리와 소통문제